갑오년 4월 (1594년 4월)
4월 초1일 [양력 5월 20일] <己酉>
맑다. 매일 먹는 밥인데도 밥을 먹지 못했다. 장흥부사(황세득)·진도 군수(김만수)·녹도만호(송
여종)이 여제(악질병에 걸려 죽은 귀신에게 지내는 제사)를 지내려고 아뢰고 돌아갔다. 충청수사가 와서 봤다.
4월 초2일 [양력 5월 21일] <庚戌>
맑다. 아침밥을 먹은 뒤에 활터 정자로 올라갔다. 삼가현감과 충청수사와 같이 종일 이야기했다. 조카 해가 들어왔다.
4월 초3일 [양력 5월 22일] <辛亥>
맑다. 오늘 여제를 지냈다. 삼도의 군사들에게 술 천여든 동이를 먹였다. 우수사와 충청수사도 같이 앉아 군사들에게 먹였다. 날이 저물어서야 숙소로 내려왔다.
4월 초4일 [양력 5월 23일] <壬子>
흐렸다가 어둘녘에 비가 왔다. 아침에 원수의 군관 송홍득과 변홍달이 새로 급제한 홍패(과거 합격증)를 가지고 왔다. 경상우병사의 군관 박창령의 아들 박의영이 와서 그의 장수의 안부 를 전했다. 식사를 한 뒤에 삼가현감이 왔다. 저녁나절에 활터정자로 올라가니 장흥부사가 술과 음식을 가지고 와서 종일 오손도손 이야기하였다.
4월 초5일 [양력 5월 24일] <癸丑>
흐리다. 새벽에 최천보가 죽었다.
4월 초6일 [양력 5월 25일] <甲寅>
맑다. 별시(별시:나라에 경사가 있을 때나 병년마다 보이던 문무 시험)를 보는 시험장소를 개설하였다. 시험관은 나와 우수사(이억기)· 충청수사(구사직)이요, 참시관(시험감독관)은 장흥부사(황세득)· 고성현령(조응도)·삼가현감(고상안)·웅천현감(이운룡)을 시험을 감독하게 하였다.
4월 초7일 [양력 5월 26일] <乙卯>
맑다. 일찍 모여 시험을 받았다.
4월 초8일 [양력 5월 27일] <丙辰>
맑다. 몸이 불편한 채 시험장으로 올라갔다.
4월 초9일 [양력 5월 28일] <丁巳>
맑다. 시험을 마치고 방을 내어 붙였다. 큰 비가 왔다. 조방장 어영담이 세상을 떠났다. 통탄함을 무엇으로 말할 수 있으랴!
4월 초10일 [양력 5월 29일] <戊午>
흐리다. 순무어사(각지의 군대와 백성을 순찰하려고 파견되는 중앙관리. 서성)가 진에 온다는 기별이 먼저 왔다.
4월 11일 [양력 5월 30일] <己未>
맑다. 순무어사가 들어온다고 한다. 그래서 문안하는 배를 내어 보냈다.
4월 12일 [양력 5월 31일] 庚申>
맑다. 순무어사 서성이 내 배에 와서 이야기했다. 우수사(이억기)·경상 수사(원균)·충청수사(구사직)가 함께 왔다. 술이 세 순배 돌자, 경상수사 원균은 짐짓 술취한 척하고 미친 듯이 날뛰며, 억지 소리를 해대니, 순무어사도 무척 괴이쩍어 했다. 삼가현감이 돌아갔다.
4월 13일 [양력 6월 1일] <辛酉>
맑다. 순무어사가 전쟁연습하는 것을 보고싶어 한다. 그래서, 죽도(통영 시 한산면)바다 가운데로 나가서 연습했다. 선전관 원사표·금오랑 김제남이 충청수사(구사직)를 잡아갈 일로 왔다.
4월 14일 [양력 6월 2일] <壬戌>
맑다. 김제남과 함께 자세한 말을 했다. 저녁나절에 순무어사의 배로 가서 군사 기밀을 자세히 의논했다. 잠시후에 우수사가 오고, 순천부사·방답첨사·사도첨사도 아울러 왔다. 나는 하직하고 배로 돌아왔다.
4월 15일 [양력 6월 3일] <癸亥>
맑다. 충청수사(구사직)가 선전관(원사표)·금오랑(김제남)·우수사(이억기)와 함께 왔다. 충청수사 우경 구사직과 작별 했다.
4월 16일 [양력 6월 4일] <甲子>
맑다. 아침밥을 먹은 뒤에 활터정자로 올라갔다. 밀려 쌓인 공문을 처리하여 보냈다. 경상수사(원균)의 군관 고경운과 도훈도 및 변고에 대비하는 색리·영리를 잡아다가, 지휘에 응하지 않고 적변도 빨리 보고하지 않은 죄로 곤장을 쳤다. 저녁에 송두남이 서울에서 내려왔다. 장계에 따라 낱낱이 하교한 대로 시행했다.
4월 17일 [양력 6월 5일] <乙丑>
맑다. 저녁나절에 활터 정자로 올라가서 공문을 처리하여 보냈다. 우수사가 와서 봤다. 거제현령(안위)가 급히 와서 보고한 내용에, "왜선 백 여 척이 본토(일본)에서 처음 나와서 절영도로 향한다."고 했다. 저물 무렵에 거제에 살다가 사로잡혔던 남녀 열여섯 명이 도망하여 돌아왔다.
4월 18일 [양력 6월 6일] <丙寅>
맑다. 새벽에 도망쳐 돌아온 사람이 있는 곳에 가서 적정을 자세히 물으니, 대마도 평의지(종의지)는 웅천땅 입암(진해시 웅천동 제덕 리)에 있고, 평행장(소서행장)은 웅포에 있다고 한다. 충청도 신임 수사(이순신)·순천부사 및 우수사우후(이정충)가 왔다. 저녁나절에 거제현령(안위)도 왔다. 저녁에 비가 내리더니 밤새도록 세차게 왔다.
4월 19일 [양력 6월 7일] <丁卯>
비가 내렸다. 첨지 김경로가 원수부에서 와서 적을 토벌할 대책을 논의하고서 그대로 한 배에서 잤다.
4월 20일 [양력 6월 8일] <戊辰>
종일 가랑비가 걷히지 않았다. 우수사·충청수사·장흥부사·마량첨사(강응표)가 와서 바둑을 두고, 군사에 관한 일도 의논했다.
4월 21일 [양력 6월 9일] <己巳>
비가 오락가락 했다. 혼자 봉창 아래 앉아 있어도 저녁내 아무도 오지 않았다. 방답첨사가 충청수사로 되어 중기를 수정하는 일로 아뢰고 돌아갔다. 저녁에 김성숙과 곤양의 이광악이 와서 봤다. 저물녁에 흥양이 들어 왔다. 본영 탐후선도 왔는데, 어머니께서 평안하시다고 했다. 참으로 다행이다.
4월 22일 [양력 6월 10일] <庚午>
맑다. 바람이 시원하여 가을 날씨 같다. 첨지 김경로가 다시 돌아왔다. 장계를 봉하고, 또 조총을 동궁에게 줄 긴 창과 더불어 봉해 올렸다. 장흥부사가 왔다. 저녁에 흥양현감도 왔다.
4월 23일 [양력 6월 11일] <辛未>
맑다. 아침에 순천부사(권준)·흥양현감(배흥립)이 왔다. 저녁나절에 곤양군수 이광악이 술을 가지고 왔다. 장흥부사도 왔다. 임치첨사(홍견)도 같이 왔다. 곤양이 몹시 취해서 미친 소리를 마구 해대니 우습다. 나도 잠깐 취했다.
4월 24일 [양력 6월 12일] <壬申>
맑다. 아침에 서울 편지를 썼다. 저녁나절에 영암군수(박홍장)·마량 첨사(강응표)가 와서 봤다. 순천부사가 아뢰고 돌아갔다. 각 항목의 장계를 봉해 보냈다. 경상우수사가 있는 곳에 순찰사 종사관이 왔다고 한다.
4월 25일 [양력 6월 13일] <癸酉>
맑다. 꼭두새벽부터 몸이 불편하여 종일 괴로워했다. 아침에 보성군수가 와서 봤다. 밤새도록 앉아서 앓았다.
4월 26일 [양력 6월 14일] <甲戌>
맑다. 통증이 극히 심하여 거의 인사불성이 되었다. 곤양군수가 아뢰고 돌아갔다.
4월 27일 [양력 6월 15일] <乙亥>
맑다. 통증이 잠깐 덜하다. 숙소로 내려갔다.
4월 28일 [양력 6월 16일] <丙子>
맑다. 기력과 아픈 증세가 많이 덜했다. 경상수사(원균)과 좌랑 이유함(이유 )이 와서 봤다. 울이 들어왔다.
4월 29일 [양력 6월 17일] <丁丑>
맑다. 기운이 상쾌해진 것 같다. 아들 면이 들어왔다. 곧 고을의 종 넷과 관의 종이 들어왔다. 오늘 우도에서 삼도의 군사들에게 술을 먹였다.
'Reading Books > Reading Books' 카테고리의 다른 글
<R/B> 亂中日記 (25) -李舜臣- (0) | 2021.02.16 |
---|---|
<R/B> 亂中日記 (24) -李舜臣- (0) | 2021.02.14 |
<R/B> 亂中日記 (21) -李舜臣- (0) | 2021.02.10 |
<R/B> 亂中日記 (20) -李舜臣- (0) | 2021.02.08 |
<R/B> 亂中日記 (19) -李舜臣- (0) | 2021.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