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기록에 없음>
무술년 9월 (1598년 9월)
9월 15일 [양력 10월 14일] <丁酉>
맑다. 명나라 도독 진린과 함께 일제히 항해하여 나로도에 이르러서야 잤다.
9월 16일 [양력 10월 15일] <戊戌>
맑다. 나로도에 머물었다. 도독과 함께 술을 마셨다.
9월 17일 [양력 10월 16일] <己亥>
맑다. 나로도에 머물었다. 진과 함께 술을 마셨다.
9월 18일 [양력 10월 17일] <更子>
맑다. 낮 두 시에 행군하여 방답진(여천군 돌산읍 군내리)에 이르러 잤다.
9월 19일 [양력 10월 18일] <辛丑>
맑다. 아침에 좌수영 앞바다에 옮겨 대니, 눈앞의 전경이 참담하다. 한 밤에 달빛을 타고 하개도(하개도:남해군 남면 대정리 목도?)로 옮겨 대었다가, 채 밝기도 전에 출항했다.
9월 20일 [양력 10월 19일] <壬寅>
맑다. 오전 여덟 시쯤에 유도(여천군 율촌면 여흥리 송도)에 이르니, 명나라 제독 유정이 벌써 진군했다. 수륙으로 모두 조여드니, 적의 기세가 크게 꺾였다. 많이 겁내는 빛이다. 수군이 드나들며 대포를 쏘아댔다.
9월 21일 [양력 10월 20일] <癸卯>
맑다. 아침에 진군하여 화살을 쏘기도 하고 화포를 쏘기도 하여 종일 싸웠으나, 물이 밀려나가 매우 얕아 진격해 들어갈 수가 없었다. 남해의 적이 가벼운 배를 타고서 들어와 정탐하려 할 즈음 허사인 등이 추격하니, 왜적들은 뭍으로 올라가 산으로 도망갔다. 그리하여 왜놈들의 배와 여러 잡된 물건을 빼앗아 도독(유정)에게 바쳤다.
9월 22일 [양력 10월 21일] <甲辰>
맑다. 아침에 진군하여 나갔다 들어갔다 하면서 싸웠는데, 유격(마귀)이 어깨에 적탄을 맞았으나, 중상은 아니었다. 명나라 군사 열한 명이 적탄에 맞아 죽고, 지세포만호·옥포만호가 적탄에 맞았다.
9월 23일 [양력 10월 22일] <乙巳>
맑다. 도독이 화를 냈다. 서천만호 및 홍주대장·한산대장 등에게 각각 곤장 일곱 대를 쳤다. 금갑도만호·제포만호·회령포만호에게도 아울러 곤장 열다섯 대씩 때렸다.
9월 24일 [양력 10월 23일] <丙午>
맑다. 진대강이 돌아갔다. 원수 군관이 공문을 가지고 왔다. 충청병사의 군관 김정현이 왔다. 남해 사람 김득유 등 다섯 사람이 다녀 와서, 그 고을 적정을 전하였다.
9월 25일 [양력 10월 24일] <丁未>
맑다. 진대강이 도로 와서 제독 유정의 편지를 전했다. 이 날 육군은 비록 공격을 하려고 하나 기구가 완전치 못하였다. 김정현이 와서 봤다.
9월 26일 [양력 10월 25일] <戊申>
맑다. 육군의 기구가 갖추어지지 않았다. 저녁에 정응룡이 와서 북도의 일을 말했다.
9월 27일 [양력 10월 26일] <己酉>
아침에 잠시 비를 뿌리더니 히늬바람이 세게 불었다. 아침에 명나라 군문 형개가 글을 보내어 수군이 재빨리 진군한 것을 가상히 여긴다. 식사를 한 뒤에 도독 진린을 보고 조용히 이야기했다. 종일 바람이 세게 불었다. 저녁에 신호의가 와서 보고 잤다.
9월 28일 [양력 10월 27일] <庚戌>
맑다. 하늬바람이 세게 불어 크고 작은 배들이 드나들 수가 없었다.
9월 29일 [양력 10월 28일] <辛亥>
맑다.
9월 30일 [양력 10월 29일] <壬子>
맑다. 오늘 저녁 명나라 유격 왕원주·유격 복승·파총 이천상이 백 여 척을 거느리고 진으로 왔다. 이 날 밤 등불을 밝히니, 휘황찬란하여 적도들은 간담이 써늘했을 것이다.
'Reading Books > Reading Books' 카테고리의 다른 글
<R/B> 탁류 (1) -채만식- (0) | 2021.04.06 |
---|---|
<R/B> 亂中日記 (64, 終) -李舜臣- (0) | 2021.04.04 |
<R/B> 亂中日記 (62) -李舜臣- (0) | 2021.04.01 |
<R/B> 亂中日記 (61) -李舜臣- (0) | 2021.03.31 |
<R/B> 亂中日記 (60) -李舜臣- (0) | 2021.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