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유년 9월 (1597년 9월)
9월 초1일 [양력 10월 11일] <己丑>
맑다. 그대로 벽파진에 머물렀다. 나는 내려가 벽파정위에 앉았는데, 점세가 탐라에서 나와서 소 다섯 마리를 싣고 와서 바쳤다.
9월 2일 [양력 10월 12일] <庚寅>
맑다. 오늘 새벽에 경상수사 배설이 도망갔다.
9월 3일 [양력 10월 13일] <辛卯>
아침에 맑았다가 저녁에 비가 뿌렸다. 밤에는 된바람이 불었다. 봉창아래에서 머리를 웅크리고 있으니 그 심사가 어떠하랴!
9월 4일 [양력 10월 14일] <壬辰>
맑은데, 된바람이 세게 불었다. 배가 가만히 있지 못해서 각 배들을 겨우 보전했다. 천행이다.
9월 5일 [양력 10월 15일] <癸巳>
된바람이 세게 불었다. 각 배를 서로 보전할 수가 없었다.
9월 6일 [양력 10월 16일] <甲午>
바람은 조금 자는 듯 했으나, 물결은 가라앉지 앉았다. 추위가 엄습하니 격군들 때문에 걱정
이다.
9월 7일 [양력 10월 17일] <乙未>
맑다. 바람이 비로소 그쳤다. 탐망군관 림중형이 와서 보고하기를, "적선 쉰다섯 척 가운데 열세 척이 이미 어란 앞바다에 도착했다. 그 뜻이 우리 수군에 있는 것 같다."고 했다. 그래서 각 배들에게 엄중히 일러 경계하였다. 오후 네 시쯤에 적선 열세 척이 곧장 진치고 있는 곳으로 우리 배로 향해 왔다. 우리 배들도 닻을 올려 바다로 나가 맞서서 공격하여 급히 나아가니, 적들이 배를 돌려 달아나 버렸다. 뒤 쫓아 먼 바다에까지 갔지만, 바람과 조수가 모두 거슬러 흘러(역류) 항해할 수가 없어 복병선이 있을 것을 염려하여 더 쫓아가지 않고 벽파진으로 돌아왔다. 이 날 밤에 여러 장수들을 불러 모아 약속하며 말하기를, 오늘 밤에는 반드시 아무래도 적의 야습이 있을 것 같아, 여러 장수 들은 미리 알아서 준비할 것이며, 조금이라도 명령을 어기는 일이 있으면 군법대로 시행할 것이라고 재삼 타일러 분명히 하고서 헤어졌다. 밤 열 시 쯤에 적선이 포를 쏘며 기습으로 공격해 왔다. 우리의 여러 배들이 겁을 집어 먹는 것 같아 다시금 엄명을 내리고, 내가 탄 배가 곧장 적선 앞으로 가서 지자포를 쏘니 강산이 진동했다. 그랬더니 적의 무리는 당해 내지 못하고 네 번이나 나왔다 물러났다 하면서 포를 쏘아댔다. 밤 한시가 되니 아주 물러 갔다. 이들은 전에 한산도에서 승리를 얻은 자들이다.
9월 8일 [양력 10월 18일] <丙申>
맑다. 적선이 오지 않았다. 여러 장수들을 불러 대책을 논의했다. 우수사 김억추는 겨우 만호깜이나 맞을까 대장으로 쓰일 재목은 못되는 데도 좌의정 김응남이 서로 친밀한 사이라고 해서 억지로 임명하여 보냈다. 이러고서야 조정에 사람이 있다고 할 수 있는가! 다만 때를 못 만난 것을 한탄할 뿐이다.
9월 9일 [양력 10월 19일] <丁酉>
맑다. 오늘이 곧 9일(중양절)이다. 군대 전부에게도 좋은 명절이다. 나는 복재기(상제)이지만 여러 장병들에게야 먹이지 않을 수 없다. 그래서 제주에서 나온 소 다섯 마리를 녹도와 안골포 두 만호에게 주어서 장병들에게 음식을 먹이고 있는데, 저녁나절에 적선 두 척이 어란포에서 바로 감보도(진도군 고군면)로 들어와 우리 배의 많은지 적은지를 정탐했다. 영등포만호 조계종이 끝까지 따라 갔더니, 적들은 어리둥절하여 배에 실었던 물건을 몽땅 바다 가운데로 던져버리고 달아났다.
9월 10일 [양력 10월 20일] <戊戌>
맑다. 적선들이 멀리 달아났다.
9월 11일 [양력 10월 21일] <己亥>
흐리고 비가 올 것 같다. 홀로 배 위에 앉았으니, 그리운 생각에 눈물이 흘렀다. 세상에 어찌 나같은 사람이 있겠는가! 아들 회는 내 심정을 알고 심히 언짢아 하였다.
9월 12일 [양력 10월 22일] <更子>
종일 비가 뿌렸다. 봉창 아래서 심회를 걷잡을 수가 없었다.
9월 13일 [양력 10월 23일] <辛丑>
맑은데 된바람이 세게 불었다. 배가 가만 있지를 못했다. 꿈이 이상하다. 임진년에 대첩했을 때와 얼추 같다. 이 징조를 모르겠다.
9월 14일 [양력 10월 24일] <壬寅>
맑다. 벽파정 맞은편에서 연기가 오르기에 배를 보내어 싣고 오니 바로 임준영이 육지를 정탐하고 와서 말하기를, "적선 이백 여 척 가운데 쉰다섯 척이 이미 어란 앞바다에 들어왔다."고 하였다. 또 말하기를, "적에게 사로잡혔던 김중걸이 전하는 데, 이 달 6일에 달마산으로 피난갔다가 왜놈에게 붙잡혀 묶여서는 왜선에 실렸습니다. 김해에 사는 이름 모르는 한 사람이 왜장에게 빌어서 묶인 것을 풀어 주었습니다. 그 날 밤에 김해 사람이 김중걸의 귀에다 대고 말하기를, 왜놈들이 모여 의논하는 말이, `조선 수군 열 여 척이 왜선을 추격하여 사살하고 불태웠으므로 할 수 없이 보복해야 하겠다. 극히 통분하다. 각 처의 배를 불러 모아 조선 수군들을 모조리 죽인 뒤에 한강으로 올라 가겠다.'고 하였습니다."는 것 이었다. 이 말은 비록 모두 믿기는 어려우나, 그럴 수도 없지 않으므로, 전령선을 우수영으로 보내어 피난민들을 타일러 곧 뭍으로 올라 가라고 하였다.
9월 15일 [양력 10월 25일] <癸卯>
맑다. 조수를 타고 여러 장수들을 거느리고 우수영 앞바다로 진을 옮겼다. 벽파정 뒤에는 울돌목이 있는데 수가 적은 수군으로써 명량을 등지고 진을 칠 수 없기 때문이다. 여러 장수들을 불러 모아 약속하면서 이르되,"병법에 '반드시 죽고자 하면 살고 살려고만 하면 죽는다'고 했으며, 또 '한 사람이 길목을 지키면, 천 사람이라도 두렵게 한다'고 했음은 지금 우리를 두고 한 말이다. 너희 여러 장수들이 살려는 생각은 하지 마라. 조금이라도 명령을 어기면 군법으로 다스릴 것이다. 조금이라도 너그럽게는 용서하지 않을 것이다"하고 재삼 엄중히 약속 했다. 이 날 밤 신인이 꿈에 나타나, "이렇게 하면 크게 이기고, 이렇게 하면 지게 된다"고 일러 주었다.
9월 16일 [양력 10월 26일] <甲辰>
맑다. 아침에 별망군이 나와서 보고하는데, 적선이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이 울돌목을 거쳐 곧바로 진치고 있는 곳으로 곧장 온다고 했다. 곧 여러 배에 명령하여 닻을 올리고 바다로 나가니, 적선 백서른세 척이 우리의 여러 배를 에워쌌다. 대장선이 홀로 적진 속으르 들어가 포탄과 화살을 비바람같이 쏘아대건만 여러 배들은 관망만 하고 진군하지 않아 사태가 장차 헤아릴 수 없게 되었다. 여러 장수들이 적은 군사로써 많은 적을 맞아 싸우는 형세임을 알고 돌아서 피할 궁리만 했다. 우수사 김억추가 탄 배는 물러나 아득히 먼 곳에 있었다. 나는 노를 바삐 저어 앞으로 돌진하여 지자총통·현자총통 등 각 종 총통을 어지러이 쏘아대니, 마치 나가는 게 바람같기도 하고 우레 같기도 하였다. 군관들이 배 위에 빽빽히 서서 빗발치듯이 쏘아대니, 적의 무리가 감히 대들지 못하고 나왔다 물러갔다 하곤 했다. 그러나 적에게 몇겹으로 둘러 싸여 앞으로 어찌 될지 한 가진들 알 수가 없었다. 배마다의 사람들이 서로 돌아보며 얼굴빛을 잃었다. 나는 침착하게 타이러면서, "적이 비록 천 척이라도 우리 배에게는 감히 곧바로 덤벼들지 못할 것이다. 일체 마음을 동요치 말고 힘을 다하여 적선에게 쏴라."고 하고서, 여러 장수들을 돌아보니, 물러나 먼 바다에 있었다. 나는 배를 돌려 군령을 내리자니 적들이 더 대어들 것 같아 나아 가지도 물러나지도 못할 형편이었다. 호각을 불어서 중군에게 명령하는 깃발을 내리고 또 초요기를 돛대에 올리니, 중군장미 조항첨사 김응함의 배가 차차로 내 배에 가까이 오고, 거제현령 안위의 배가 먼저 왔다. 나는 배 위에 서서 몸소 안위를 불러 이르되, "안위야, 군법에 죽고 싶으냐? 너가 군법에 죽고 싶으냐? 도망간다고 해서 어디 가서 살것 같으냐? 고 하니, 안위가 황급히 적선 속으로 돌입했다. 또 김응함을 불러 이르되, "너는 중군장으로서 멀리 피하고 대장을 구하지 않으니, 그 죄를 어찌 면할 것이냐? 당장 처형할 것이로되, 적세 또한 급하므로 우선 공을 세우게 한다." 고 하니, 두 배가 곧장 쳐들어가 싸우려 할 때, 적장이 그 휘하의 배 두 척을 지휘하여 한꺼번에 개미 붙듯이 안위의 배로 매달려 서로 먼저 올라 가려고 다투었다. 안위와 그 배에 탔던 사람들이 죽을 힘을 다하여 몽둥이로 치기도 하고, 긴창으로 찌르기도 하고, 수마석 덩어리로 무수히 어지러이 싸우니 배 위의 사람들은 기진맥진하게 된데다가, 안위의 격군 일여덟 명이 물에 뛰어들어 헤엄치는데 거의 구하지 못할 것 같았다. 나는 배를 돌려 곧장 쳐들어가 빗발치듯 어지러이 쏘아대니, 적선 세 척이 얼추 엎어지고 자빠지는데 녹도만호 송여종·평산포대장 정응두의 배가 줄이어 와서 합력하 여 적을 쏘아 한 놈도 몸을 움직이지 못했다. 항복해온 왜놈 준사란 놈은 안골포의 적진에서 투항해온 자이다. 내 배위에서 내려다 보며, "저 무늬 있는 붉은 비단옷을 입은 놈이 적장 `마다시'다"고 하였다. 나는 김돌손으로 하여금 갈구리를 던져 이물로 끌어 올렸다. 그러니 준사는 펄쩍 뛰며, "이게 마다시다"고 하였다. 그래서, 곧 명령하여 토막으로 자르게 하니, 적의 기운이 크게 꺾여 버렸다. 이 때 우리의 여러 배들은 적이 다시는 침범해오지 못할 것을 알고 일제히 북을 치며 나아가면서 지자총통·현자총통 등을 쏘고, 또 화살을 빗발처럼 쏘니, 그 소리가 바다와 산을 뒤흔들었다. 우리를 에워 싼 적선 서른 척을 쳐 부수자, 적선들은 물러나 달아나 버리고 다시는 우리 수군에 감히 가까이 오지 못했다. 그곳에 머무르려 했으나 물살이 무척 험하고 형세도 또한 외롭고 위태로워 건너편 포구로 새벽에 진을 옮겼다가, 당사도(무안군 암태면)로 진을 옮기어 밤을 지냈다. 이 것은 참으로 천행이다.
9월 17일 [양력 10월 27일] <乙巳>
맑다. 어외도(어외도:무안군 지도면)에 이르니, 피난선이 무려 삼백 여 척이 먼저 와 있었다. 임치첨사는 배에 격군이 없어 나오지 못한다고 했다. 나주진사 림선·림환·림업 등이 와서 봤다. 우리 수군이 대첩한 것을 알고 서로 앞다투어 치하하고, 또 많은 양식을 가져와 군사들에게 주었다.
9월 18일 [양력 10월 28일] <丙午>
맑다. 그대로 어외도에서 머물렀다. 임치첨사가 왔다. 내 배에서는 순천감목관 김탁과 본영의 종 계생이 탄환에 맞아 죽고, 박영남과 봉학 및 강진현감 이극신도 탄환에 맞았으나, 중상에 이르지는 않았다.
9월 19일 [양력 10월 30일] <丁未>
맑다. 일찍 떠나 출항했다. 바람도 순하고 물살도 순조를 타 무사히 칠산(칠산: 영광군 낙월면) 바다를 건넜다. 저녁에 법성포(영광군 법성면) 선창에 이르니, 흉악한 적들이 육지로 해서 들어 와 사람사는 집과 창고에 불을 질렀다. 해질 무렵에 홍농(홍농: 영광군 홍농면) 앞에 이르러, 배를 정박시키고 잤다.
9월 20일 [양력 10월 30일] <戊申>
맑고 바람도 순조로왔다. 새벽에 출항하여 곧장 위도(위도: 영광군 위도면)에 이르니, 피난선이 많이 정박해 있었다. 황득중)과 종 금이 등을 보내어 종 윤금을 찾아서 잡아오라고 했더니, 과연 위도 밖에 있었다. 그래서 묶어다가 배 안에 실었다. 이광축·이광보가 와서 봤다. 이지화 부자가 또 와서 봤다. 날이 저물어서 잤다.
9월 21일 [양력 10월 31일] <己酉>
맑다. 일찍 떠나 고군산도(옥구군 미면 선유도)에 이르니, 호남순찰사가 내가 왔다는 말을 듣고 배를 타고 급히 옥구로 갔다고 하였다. 저녁나절에 광풍이 세게 불었다.
9월 22일 [양력 11월 1일] <庚戌>
맑은데, 된바람이 세게 불었다. 그대로 머물렀다. 나주목사 배응경·무장현감 이람이 와서 봤다.
9월 23일 [양력 11월 2일] <辛亥>
맑다. 승첩한 장계의 초본을 수정했다. 정희열이 와서 봤다.
9월 24일 [양력 11월 3일] <壬子>
맑다. 몸이 불편하여 신음했다. 김홍원이 와서 봤다.
9월 25일 [양력 11월 4일] <癸丑>
맑다. 이 날 밤에 몸이 몹시 불편하고, 식은 땀이 온 몸을 적셨다.
9월 26일 [양력 11월 5일] <甲寅>
맑다. 몸이 불편하여 종일 나가지 않았다. 이 날 밤에는 식은 땀이 온몸을 적셨다.
9월 27일 [양력 11월 6일] <乙卯>
맑다. 송한·김국·배세춘 등이 승첩장계를 가지고 뱃길로 올라 갔다. 정제는 충청수사에게 부찰사로 보낼 공문을 가지고 같이 같다. 몸이 몹시 불편하여 밤내내 아팠다.
9월 28일 [양력 11월 7일] <丙辰>
맑다. 송한과 정제가 바람에 막혀 되돌아 왔다.
9월 29일 [양력 11월 8일] <丁巳>
맑다. 송한 등 계본· 장달(을 가진 사람) 및 판관 정제는 바람이 순조로와 도로 올라갔다.
'Reading Books > Reading Books' 카테고리의 다른 글
<R/B> 亂中日記 (60) -李舜臣- (0) | 2021.03.30 |
---|---|
<R/B> 亂中日記 (59) -李舜臣- (0) | 2021.03.29 |
<R/B> 亂中日記 (57) -李舜臣- (0) | 2021.03.27 |
<R/B> 亂中日記 (56) -李舜臣- (0) | 2021.03.26 |
<R/B> 亂中日記 (55) -李舜臣- (0) | 2021.03.25 |